2024년 5월을 시작으로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기 위해선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필수로 거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선 기본적으로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이 신분증으로써 이용되며, 실물 신분증을 대체하여 병원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출시되었고, 이에 따라 실제로 신분증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로 병원에 방문했다면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신분증을 대체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모바일 건강보험증의 발급 방법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이란?
우선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의료기관의 본인확인 강화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휴대폰에 앱을 설치하고 본인의 정보를 등록하여 의료기관에 방문했을 때 앱에 등록된 정보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건강보험이나 의료급여의 본인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기본적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갤럭시 등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아이폰에서 동일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 플레이스토어, 그리고 아이폰의 경우 앱스토어에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서비스되는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설치하면 간단히 본인의 정보를 등록하여 의료기관에서 본인확인의 용도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의 설치를 완료했다면 본인의 정보를 등록하는 인증서 발급 과정을 진행할 수 있는데요. 해당 과정은 간단히 휴대폰 본인인증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휴대폰 본인인증을 진행한 이후 즉시 모바일 건강보험증의 발급이 완료되어 실제로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본인확인의 용도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럼, 자세한 발급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실행합니다.
2. 화면의 '개인입니까?'를 선택한 후 확인을 선택합니다.
3. 앱에서 사용할 언어를 선택하고 확인을 선택한 뒤, 이용 안내를 확인합니다.
4. 앱의 기능 접근 권한 안내를 확인하고, 서비스 이용에 관한 약관에 동의한 후 확인을 선택합니다.
5. 접속된 모바일 건강보험증의 홈 화면에서 '본인확인 하기'를 선택한 뒤, 본인확인 안내를 확인하고 다음을 선택합니다.
6. 기기확인을 위해 안내에 따라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고, 본인 명의의 휴대폰으로 본인확인을 진행합니다.
7. 마지막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이용할 때 사용할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모바일 건강보험증의 발급이 완료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사용 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의 발급을 완료했다면 이제 실제로 병원에 방문했을 때 신분증을 대체하여 본인확인을 진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때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앱을 실행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했을 때 화면에 표시되는 '제출하기'를 선택하여 본인의 정보 화면의 표시하고, 이를 접수처에 보여주는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본인확인이 불가할 때는 앱의 메뉴 중 'QR·바코드 제출'을 선택하여 QR코드와 바코드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를 접수처에 제출하여 본인확인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