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거래에 대한 자료로 송금확인증이 필요하다면 거래에 이용한 계좌의 은행에 송금확인증 발급을 요청해야 하는데요. 근래에는 카카오페이와 같은 간편 송금 서비스를 이용하여 거래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이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계좌를 해당 서비스에 연결하여 이체를 진행했더라도 은행이 아닌, 해당 서비스를 통해 이체에 대한 송금확인증을 요청해야 합니다.
따라서 각각의 간편 송금 서비스에서도 현재는 송금확인증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번 글을 통해 카카오페이의 송금확인증 발급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페이 송금확인증 발급 방법
카카오페이의 송금확인증은 모바일에서 카카오페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간단히 발급이 가능한데요. 보통 모바일에서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톡의 더보기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과 별도로 제공되는 카카오페이 앱을 이용하는 방법까지 2가지의 방법으로 이용이 지원되며, 송금확인증의 경우에는 카카오페이를 이용하는 방법과 관계없이 동일한 과정을 발급이 가능합니다.
이때 카카오페이에서는 원하는 송금내역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송금내역에 대한 송금확인증의 PDF 파일을 이메일로 전송해 주는 방식으로 송금확인증 발급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지금부터 자세한 발급 과정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카카오페이에 접속하고, 전체 메뉴로 이동해 주세요.
2. 전체 메뉴에서 '설정'을 선택한 후 설정 중 머니 관리의 '송금확인증'을 선택해 주세요.
3. 기간을 설정하여 송금확인증이 필요한 송금내역을 조회한 후 해당 내역을 선택하고, 화면 아래의 '1건 선택' 버튼을 선택해 주세요.
4. 발급된 송금확인증을 전송받을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발송' 버튼을 선택해 주세요.
5. 이제 화면에 표시된 안내사항의 '동의하고 진행'을 선택하여 관련 약관에 동의하면 발급된 송금확인증이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전송됩니다.
송금확인증 발급 시 참고사항
앞서 설명한 과정에서도 알 수 있듯이 카카오페이에서는 이메일로 발급된 송금확인증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송금확인증의 발급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이와 같이 발급된 송금확인증은 암호가 설정된 상태의 PDF 파일로 전송되며, 이에 따라 이메일을 통해 PDF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했을 때는 설정된 암호를 입력해야만 송금확인증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때 설정된 암호는 송금확인증의 발급을 진행한 본인의 생년월일 6자리이며, 실제로 송금확인증의 PDF 파일을 실행했을 때 암호 입력창이 표시되고, 여기에 본인의 생년월일 6자리를 입력하면 송금확인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